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컴퓨터나 응용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중계기로서 대리로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리켜 '프록시', 그 중계 기능을 하는 것을 프록시 서버라고 부른다.

프록시 서버는 프록시 서버에 요청된 내용들을 캐시를 이용하여 저장해 둔다. 이렇게 캐시를 해 두고 난 후에, 캐시 안에 있는 정보를 요구하는 요청에 대해서는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전송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불필요하게 외부와의 연결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외부와의 트래픽을 줄이게 됨으로써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프록시 서버의 사용 목적은 잠재적으로 다양하다:

- 익명으로 컴퓨터를 유지 (주로 보안을 위하여)

- 캐시를 사용하여 리소스로의 접근을 빠르게 하기 위해. 웹 프록시는 웹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를 캐시로 저장하는 데 흔히 쓰인다.

- 네트워크 서비스나 콘텐츠로의 접근 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이를테면 원치 않는 사이트를 차단)

- 사용률을 기록하고 검사하기 위해 (이를테면 회사는 인터넷 이용을 파악)

- 보안 및 통제를 뚫고 나가기 위해

- 바이러스 전파, 악성 루머 전파, 다른 정보들을 빼낼 목적으로

- 역으로 IP추적을 당하지 않을 목적으로

- 전달에 앞서 악성 코드를 목적으로 전달된 콘텐츠를 검사하기 위해

- 밖으로 나가는 콘텐츠를 검사하기 위해 (데이터 유출 보호)

- 지역 제한을 우회하기 위해

포트를 알려면 네크워트 / 호스트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호스트는 각 PC를 가리키면, 네트워크 부분은 통신을 위해 데이터 전송시 라우터 영역을 거치지 않고 전송가능한 영역이라고 알면 된다(이를 BroadCast 영역이라고 한다).

Loop back 주소는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주소.

그래서

포트는 호스트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짓기 위한 16bit의 논리할당 이다.

IP주소는 컴퓨터를 찾기 위한 주소라고 하면, Port 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찾기 위한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SSL(secure socket layer)

안전하게 개인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실상의 표준 프로토콜

Https 는 ssl상의 http 구현 형태

Http 는 80포트 사용 / Https 는 433 포트 사용

 

Was server은 동적인 데이터 관리 , 보통 Web Application Server 과 Container 를 합한 것을 일컫는다.

-> asp / php / jsp 등 개발언어 읽고 처리함

 

Web server은 정적인 데이터 관리 -> client로부터 http 요청 받고 html 웹 페이지 문서(http protocol 을 통해 읽힐 수 있는 문서) 에 반응

 

요새는 Was가 Web Server기능을 포함하지만, 분리해서 쓴다.

 

이유는 Was에 너무 과도한 일 부과를 막기 위함 (분산처리)

 

우리가 보통 할고 있는 apache -> Web server, 그리고 Tomcat -> Was

 

IP Address 란 Internet Protocol 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시 송신자와 수신자를 구분하기 위함

 

 

[TCP / IP]

 

 

TCP/IP 는 가장최근에 발명된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지역네트워크(LAN) 혹은 광역네트워크(WAN)에서 원할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통신규약(Protocol) 으로 정의할 수 있다. 최초 미국방성에서 구축한 ARPANET 에서 시작되었으며, 후에 미국방위통신청(DAC-Defense Communication Agency)에서 컴퓨터간 통신을 위해서 TCP/IP를 사용하도록 한것이 그 시초가 되었다.

 

TCP/IP가 인기를 구가하게 된건 인터넷 의 등장이 그 결정적인 역활을 했다. 가장 인기있는 인터넷 서비스인 WWW, EMAIL, TELNET, FTP 등 대부분이 TCP/IP 기반에서 만들어져있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수많은 컴퓨터와 통신을 위해서 TCP/IP를 선택한 이유는 그 개방성에 있다. 즉 하드웨어, 운영체제, 접속매체에 관계없이 동작할수 있다는점때문에, 인터넷 통신을 위한 핵심으로 선택되었다. 현재는 수천만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을 통하여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다. TCP/IP 란 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TCP/IP 는

 

TCP  IP 의 2개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져 있는데, 통상 IP 프로토콜 위에 TCP 프로토콜이 놓이게 되므로 TCP/IP 라고 부르게 되었다.

 

 

IP - node(단말기)와 node - 이해하기 쉽게 컴퓨터와 컴퓨터 - 간의 데이타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각 node 에 (우편번호와 같은)주소를 필요로 한다. IP는 4바이트로 이루어진 주소번호를 사용하여서 각각의 node 를 구분하고, 목적지를 찾아가게 된다. 우리는 이를 IP Address라고 하며, "192.168.100.100" 와 같은 점박이 3형제 형식으로 사용한다. IP 는 Internet Protocol 의 줄임말이다. 숫자로된 인터넷주소를 사람이 식별하는건, 그리 쉽지 않기 때문에, IP주소를 인간이 식별하기 쉬운 Domain 네임으로 변환시켜주는 Domain Name 서비스를 사용한다. www.yahoo.co.kr 이 211.234,109.2 이런것 보다는 외우기가 수월 할것이다.

 

TCP -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데이타를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 데이타는 네트워크선로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손실되거나 순서가 뒤바뀌어서 전달될수 있는데, TCP는 손실을 검색해내서, 이를 교정하고 순서를 재조합할수 있도록 해준다.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의 줄임말이다. 데이타를 전송하기 전에 데이타전송을 위한 연결을 만드는 연결지향 프로토콜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