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를 알려면 네크워트 / 호스트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호스트는 각 PC를 가리키면, 네트워크 부분은 통신을 위해 데이터 전송시 라우터 영역을 거치지 않고 전송가능한 영역이라고 알면 된다(이를 BroadCast 영역이라고 한다).
Loop back 주소는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주소.
그래서
포트는 호스트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짓기 위한 16bit의 논리할당 이다.
IP주소는 컴퓨터를 찾기 위한 주소라고 하면, Port 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찾기 위한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SSL(secure socket layer)
안전하게 개인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실상의 표준 프로토콜
Https 는 ssl상의 http 구현 형태
Http 는 80포트 사용 / Https 는 433 포트 사용
'프로그래밍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error (Several ports required/ 8080 , 8009) (0) | 2022.05.05 |
---|---|
Linux 명령어 자주 쓰는 것들 정리 - in PUTTY 환경 (0) | 2022.05.05 |
Proxy Server or Proxy (0) | 2022.05.05 |
Was Server / Web Server / IP Address(feat. TCP/IP) (0) | 2022.05.05 |
Was / Web Server (Tomcat / Apache) 시간관련 설정 (0) | 2022.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