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벽 포트 설정 -> 인바운드 규칙으로 포트 열기.

기본 포트 1521

설치된 곳의 listener.ora / tnsnames.ora 설정

listener.ora

SID_LIST_LISTENER =

(SID_LIST =

(SID_DESC =

(SID_NAME = 설정된 sid id)

(ORACLE_HOME = 설치된 경로) ex -> D:\app\kaonsoft\product\11.2.0\dbhome_3

(PROGRAM = extproc)

(ENVS = "EXTPROC_DLLS=ONLY:D:\app\kaonsoft\product\11.2.0\dbhome_3\bin\oraclr11.dll")

)

)

LISTENER =

(DESCRIPTION_LIST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IPC)(KEY = EXTPROC1521))

(ADDRESS = (PROTOCOL = TCP)(HOST = MeerueJP)(PORT = 포트)) -> defualt는 1521

)

)

ADR_BASE_LISTENER = D:\app\kaonsoft

tnsnames.ora

LISTENER_ORCL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해당 서버의 url )(PORT = 포트))

ORACLR_CONNECTION_DATA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IPC)(KEY = EXTPROC1521))

)

(CONNECT_DATA =

(SID = 설정된 sid id )

(PRESENTATION = RO)

)

)

ORCL =

(DESCRIPTION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해당 서버의 url )(PORT = 포트 ))

(CONNECT_DATA =

(SERVER = DEDICATED)

(SERVICE_NAME = ORCL)

)

)

이것으로 mssql / mysql / oracle 다 외부접속은 해본 것 같다

이 에러는 8080 , 8009 포트가 사용중이여서 서버 못 돌림.

해결법

Tomcat folder 내의 shutdown.bat 사용해서 톰캣 내려본다

cmd -> netstat -p tcp -ano 에서 8080 혹은 8009 사용하는 IP의 pid를 기억해 뒀다가 작업관리자의 서비스 탭에서 해당 port 사용하는 서비스를 내려본다.

이게 아니면 포트변경 밖에 없다...

포트를 알려면 네크워트 / 호스트의 개념을 알아야 한다.

호스트는 각 PC를 가리키면, 네트워크 부분은 통신을 위해 데이터 전송시 라우터 영역을 거치지 않고 전송가능한 영역이라고 알면 된다(이를 BroadCast 영역이라고 한다).

Loop back 주소는 자기 자신을 나타내는 주소.

그래서

포트는 호스트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구분짓기 위한 16bit의 논리할당 이다.

IP주소는 컴퓨터를 찾기 위한 주소라고 하면, Port 는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찾기 위한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SSL(secure socket layer)

안전하게 개인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사실상의 표준 프로토콜

Https 는 ssl상의 http 구현 형태

Http 는 80포트 사용 / Https 는 433 포트 사용

+ Recent posts